나와 있고 나머지는 땅속에 파묻혀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댓글 0건 조회 22회 작성일 24-12-30 21:42본문
그러나 이 로컬라이저는 위에 약한철골구조물만 나와 있고 나머지는 땅속에 파묻혀 있었다.
이에 여객기는 좀 부서졌지만 탑승객은 모두 무사했다.
2022년 10월 24일 필리핀 막탄 세부 공항에서도 대한항공이 로컬라이저를 충돌했으나 승객 전원이 무사했다.
국내 여러 공항 건설 업무에 참여한 엔지니어링 업체 관계자는 “로컬라이저 설치 위치는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규정에 따라 정해지는데, 이를 고정하는 구조물에 대한 국내 규정은 아직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해외에서는 주로 비행기가 큰 충격 없이 뚫고 지나갈 수 있도록철골 구조물을.
◀ 앵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지켜본 항공 전문가들은, "여객기가 충돌한 대형 콘크리트구조물이 피해를 키웠을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보통이면 인천이나 김포 보면은철골로 돼 있어요,철골.
" 또 지난 2015년 일본 히로시마 공항과 1994년 제주공항 항공기 이탈 사고 때는.
국토부에 따르면 제주국제공항은 콘크리트와철골(H빔), 여수·포항경주 공항은 흙을 쌓고 콘크리트구조물을 설치했다.
해외 공항으로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국제공항 등 3곳이 확인됐다.
인천국제공항 로컬라이저는구조물대부분이 평지에 매립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무안국제공항 관계자는 "규정.
혹시 모를 충돌에 대비해 이렇게철골위에 로컬라이저를 세운 덕분에 항공기가 그대로 뚫고 지나갈 수 있던 겁니다.
활주로 안전 규칙에 맞춰 땅을 평평하게 고른 뒤, 그 위에 충격을 최소화하는 알루미늄 소재로구조물을 세웠습니다.
[화면제공 유튜브 'docu9min' / 영상취재.
단단한구조물이 있으면 안 되는 위치였다”고 주장했다.
http://xn----wf9ez0lhniv0g4pz.kr/
한국항공보안학회장인 황호원 한국항공대 항공우주법학과 교수는 “콘크리트 둔덕이 없었으면 지금과 같은 큰 사고는 없었다는 게 팩트”라며 “인천이나 다른 공항 같은 경우 (둔덕을 부러지기 쉬운)철골로 해놓고 그 위에 높이에 맞춰 로컬라이저를.
일반적으로 로컬라이저는 항공기가 활주로를 통과하는 긴급 상황일 경우 최소화 하기 위해철골 구조물로 설치한다.
반면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는 흙으로 만든 높은 둔덕 위에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설치돼 있었고 담벼락과 맞닿아 있었다.
이에 대해 항공 안전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29일.
1명을 포함한 승무원 5명이 타고 있었으나 사고 직후 모두 기체를 빠져나와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다.
항공 업계 관계자는 “오버런 사태를 대비해 로컬라이저는 반드시 비행기가 쉽게 뚫고 지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며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통상적으로철골 구조물을 올린다”고 지적했다.
다른 해외 공항의 경우, 지반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철골 구조물을 설치해 수평을 맞춰 로컬라이저를 안정적으로 설치한다.
국토부는 30일 브리핑에서 “제주공항은 콘크리트와 H빔을, 여수·포항 공항은 성토와 콘크리트를 썼다”며 “해외에서도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항과 스페인 테네리페 공항 등이.
조종사 1명을 포함한 승무원 5명이 타고 있었으나 사고 직후 모두 기체를 빠져나와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다.
항공 업계 관계자는 "오버런 사태를 대비해 로컬라이저는 반드시 비행기가 쉽게 뚫고 지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며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통상적으로철골 구조물을 올린다"고 지적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